(서울=연합인포맥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마친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 글로벌 수급 불균형으로 빚어진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 물류대란에 공동대응하자고 촉구했지만, 눈에 띄는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 압력을 키우는 공급망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국가 간 협력 필요성이 커지지만, 현실은 요원한 셈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부터 골이 깊어진 세계 1, 2위 경제 대국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큰 장애물로 지목되고 있다.

공급망 불안으로 인한 파장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반도체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국내에서 차량을 인도받기까지 기다리는 기간이 장기화하고 있다. 이 여파로 지난 9월 국내 자동차 생산은 9.8% 감소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은 "내년 1분기가 돼야 완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이 요소 수출을 제한하면서 국내 화물차의 발이 묶일 위기에 처했다. 중국에 의존해 제조하던 디젤 차량 필수품인 요소수가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어서다.

금융시장에도 불안의 그림자가 드리운다. 인플레이션 기대가 커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의 이른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시중 금리 급등은 자금줄이 마르는 부동산 시장에 이중 충격을 줄 수 있다. 최근 주담대 고정금리는 연 3% 선을 뚫고 5년 만에 최대폭으로 올랐다.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가 9월 2.03%로 오른 여파다. 금융위원회가 부동산 경기 진정과 가계 부채 관리를 위해 대출을 조이는 상황에서 돈을 빌리는 비용인 금리마저 급격하게 오를 조짐이다.

내수보다는 수출 비중이 큰 경제 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는 물가 불안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가 절실한 처지다. 세계 경기 호황이야말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이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협력이 가능하다면 실물 경제뿐 아니라 지지부진한 국내 증시와 금리 급등으로 고전 중인 채권시장에도 훈풍이 될 여지가 많다. 소비가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미국과 내수로 구조 전환을 꾀하지만, 여전히 세계의 공장인 중국이 공조한다면 상징성뿐만 아니라 실효성도 클 것이다. 각국이 속도 내는 '위드코로나' 국면으로 성공적인 전환도 인플레를 잡느냐에 달렸다. 미국과 중국을 향해 국제 사회가 머리를 맞댈 시기다. (투자금융부장 이종혁)

libert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