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근 중국에서 들려오는 소식이 심상치 않다.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 주요 도시는 물론 난징, 정저우, 청두, 우루무치 등에서도 시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 공산당의 집단지도체제 아래 강력한 중앙집권 시스템을 갖춘 중국에서 이러한 집단적 시위는 이례적이다. 일부 시위대의 주장 중에는 3 연임에 성공한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퇴진도 포함돼 있다.

장쩌민 전 국가주석의 사망은 반(反) 시진핑 정서를 더욱 부추길 소지가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급속한 경제발전의 성과를 이뤄낸 장쩌민의 공이 결과적으로 시진핑의 제로 코로나 정책과 그에 따른 경기 침체 등 실정에 대한 비판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지도부는 방역 완화를 시도하면서 '위드코로나'로 전환을 꾀하고 있으나 물리적으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당장 민심이 가라앉을지는 미지수다.

중국은 지난 1989년 톈안먼 유혈 사태를 겪은 경험이 있기에 이번 시위는 금융시장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경제의 바로미터인 주식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상하이 증시와 홍콩증시는 물론 미국 증시에까지 영향을 준다. 하나의 울타리로 엮인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중국과 여러모로 연관된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환율도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않다. 최근 엔화 가치의 상승 배경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도 있지만, 중국의 시위 리스크에 대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달러-엔 일간 추이
연합인포맥스 차트




민주화와 인권 이슈는 중국의 아킬레스건이다. 시장경제 체제를 어느 정도 수용하며 경제발전을 이뤄냈으나 민주화와 인권은 중국 입장에서 아직도 허용할 수 없는 의제다. 중국은 이른바 '하나의 중국'이 와해되면 국력이 빠른 속도로 소진된다는 것을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체득해왔다. 신장웨이우얼과 티베트의 분리독립 요구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막는 이유이기도 하다. 대만에 대한 '하나의 중국' 원칙도 그 연장선상이다. 어느 한 곳이 분리하기 시작하면 중국의 강력한 체제는 약화될 것이라는 가능성이 크다. 역으로 미국은 이를 전략적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장치로 활용한다.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신장웨이우얼의 열악한 인권상황, 정치범 관리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주기적으로 내고 있다. 지난 8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도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중 갈등의 과정에서 나오는 무역 보복, 군사 긴장보다 이러한 소프트 파워가 중국에 더 위협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中 제로 코로나 반대' 백지시위 벌이는 홍콩대 학생들
(홍콩 EPA=연합뉴스) 29일(현지시간) 홍콩 홍콩대에서 중국 본토 유학생들이 중국 우루무치 화재 희생자 추모집회에서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반대하는 의미로 백지를 들고 있다. 지난 24일 중국 신장웨이우얼자치구 우루무치의 한 고층 아파트에 난 화재로 10명이 숨졌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봉쇄 탓에 화재 피해가 커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중국 주요 도시를 비롯해 대만, 홍콩 등지에서도 '제로 코로나' 반대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2022.11.30 clynnkim@yna.co.kr




이번 시위의 시작점은 분리독립의 상징인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우루무치에서 발생한 아파트 화재다. 이번 시위와 연계해 중국 전역에 민주화 바람이 부는 것을 정부 당국은 가장 경계할 것으로 보인다. 검열과 통제에 저항한다는 의미로 아무런 구호를 적지 않는다고 해서 '백지 시위'라는 명칭까지 붙었다. 시위의 주도 세력은 노동자와 대학생 등 젊은 세대들이다. 기성세대와 엘리트들에 비해 젊은 세대들에 대해선 중국 지도부의 장악력이 강하지 않다는 분석이 있다.

향후 중국의 상황 전개는 금융시장에도 그 온도가 그대로 전달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성장률과 각종 지표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코로나 봉쇄 해제가 내년 3월 양회(兩會)쯤 돼야 현실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3개월은 국제금융시장이 롤러코스터를 반복하는 양상으로 흘러갈 것으로 예상된다.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사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편집해설위원실장)
jang7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1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