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7개월 넘게 기다렸던 금융감독원 채권형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 집중점검 결과가 드디어 발표됐다.

랩·신탁 사태 이후로도 증권업권에서 각종 이슈가 쏟아지면서 랩·신탁은 금감원 관심 밖이 된 것 아니냐는 기대도 있었지만, 9개 증권사에 대해 '혐의 있음'으로 잠정 결론 나면서 업계는 재차 긴장하고 있다.

20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채권형 랩·신탁 업무실태를 집중 검사에서 적발된 9개 증권사와 30명 내외 운용역의 주요 혐의 내용을 검찰에 공유했다.

검사 결과, 만기도래 계좌의 목표수익률 달성을 위해 불법 자전거래(연계·교체거래)를 통해 고객 간 손익을 이전한 사실 등 중대 위법행위가 드러났다.

KB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SK증권, 교보증권, 유안타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9개 사가 해당한다.

해당 증권사에서는 최소 1명 이상의 랩·신탁 담당 운용역이 관련 혐의자로 검찰에 넘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증권사 랩·신탁 운용역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검찰에 넘겨진 혐의자 리스트에 본인이 포함됐는지 여부를 아직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금감원이 혐의자를 고소·고발했다면 당사자에게 그 사실이 전달된다. 하지만, 업무상 배임 등 자본시장법 외 혐의 사항에 대해 금감원은 검찰과 자료를 공유한 정도인 상황이다. 수사 권한은 검찰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검찰이 수사 필요성을 판단해 수사를 시작할 경우에만 당사자에게 해당 사실이 전달될 예정이다.

증권사당 1명 이상 혐의자가 고발됐다고 하더라도 '나는 아닐 수 있다'는 희망을 놓지 못하는 이유다.

연말 정기인사를 앞두고 직원 제재가 예정되면서 주인이 없어진 자리를 노리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번 금감원 랩·신탁 검사는 수탁고, 증감 추이, 시장정보 등을 고려해 실시됐다. 즉 운용역들에게는 '일하고 싶은 증권사'이기도 하다. 한 대형 증권사는 최근 임원인사에서 신탁본부장 자리를 공석으로 남겨뒀다.

한편 최고경영자(CEO) 행정제재 여부 등 검사 결과가 담긴 의견서는 각 증권사에 전달됐다. 소명 절차 뒤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제재 수위를 정할 방침이다. (투자금융부 송하린 기자)

여의도 전경, 증권가 모습
[촬영 류효림]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