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연체율 상승, 정상화 과정…관리 가능"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집중과 2금융권 연체율 상승에 따른 '4월 위기설' 가능성에 대해 "경제 정상화의 과정이며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8일 금융연구원에서 정부, 관계기관, 시장 전문가들과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열어 거시경제 및 금융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최근 금융권 연체율 상승에 대해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국내은행의 연체율은 2022년 6월 0.20%에서 지난해 11월 0.46%로 상승했다. 상호금융권 역시 2021년 12월 1.17%에서 지난해 9월 3.10%까지 올랐다.

참석자들은 최근의 연체율 상승은 코로나 위기 대응을 위해 도입되었던 긴급조치들의 점진적 종료와 함께 금리 인상, 자산 가격 조정, 대출 증가율 하락 등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과정에 수반되는 현상이라고 봤다.

또 이는 정상화 과정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며,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금융권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한 만큼 금융시스템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김 부위원장은 "향후 연체율 추이는 통화정책 전환 시점,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거시경제 회복 수준, 금융권의 연체채권 정리 노력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 안정화와 함께 채무조정 및 연체채권 정리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저축은행 등 중소금융권의 영업실적이 크게 악화한 데 대해서도 의견을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지난해 실적이 저조한 것은 주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충당금 적립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우선 부동산 PF대출은 사업장별 'PF 대주단 협약' 추진 및 캠코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업권별 자체 PF펀드, 경·공매 등 다양한 방식의 매각 등을 통해 질서 있게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표적인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자본비율과, 예금 지급능력 등을 나타내는 유동성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유동성은 저축은행, 상호금융권의 가용 유동성 추이 등이 안정적일 뿐 아니라 한국은행의 대출,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를 통한 직접적인 유동성 지원도 가능한 상황으로 유동성 안전판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김 부위원장은 "3월말 개별 금융회사의 지난해 결산 공시로 시장에서 불필요한 불안이 유발되지 않도록 시장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해주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부동산 PF 만기가 집중적으로 돌아오는 다음달을 앞두고 또다시 불거지는 '4월 위기설'에 대해서도 김 부위원장은 "PF대출 만기 집중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대출 만기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급격한 충격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김 부위원장은 "PF사업장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관계부처가 합심하여 PF사업장의 정상화와 사업성 제고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발언하는 김소영 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서울 중구 금융연구원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3.18 [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h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