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약세 국면은 주요 7개국(G7)의 엔화 매도개입으로 시작된 하락세였다고 다우존스는 말했다.
칼럼은 일본에서 새로운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4월부터 금융시장은 일본의 경기 회복에 필요한 엔화 약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전망의 근거는 두 가지다.
첫 번째는 G7의 개입으로 일본의 경기 회복에 엔화약세가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 시장이 인지하게 됐고 이 때문에 필요하다면 다시 환시 개입이 나와도 시장이 이를 거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다우존스의 평가다.
두 번째는 그동안 위험회피를 부추겨왔던 상황들이 전반적으로 완화하면서 안전자산 선호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또 투자자들은 위험회피보다 금리차에 더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다우존스는 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등 주요 선진국이 매파적 기조를 확대하는 반면, 사실상 제로금리 정책을 펴고 있는 일본은행(BOJ)은 추가적인 양적완화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이다.
달러화가 이미 84달러에 육박하는 등 회복세를 전개하는 상황에서 금리차가 확대되면 달러-엔은 90엔까지 더 오를 수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smjeong@yna.co.kr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