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박형규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일부 공매도 재개를 개인적으로 바라지만, 못하게 되더라도 재개 시점이나 방식에 대해 다양한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3일 오후 방영된 KBS '경제콘서트' 인터뷰에서 이러한 입장을 전달했다.

최근 이 원장이 공매도 재개를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자 대통령실은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기 전까진 공매도를 재개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당시 대통령실은 이 원장의 발언에 대해 "개인적인 희망 정도"라고 일축했다.

이 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불법 공매도를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 후에 공매도 관련한 의사결정을 하겠다는 것은 일관된 입장"이라며 "개인, 기관, 외국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 정부 내 토론을 거쳐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인 욕심으로 일부 공매도를 재개하면 좋겠다는 것은 맞다"라면서도 "재개를 못 하게 되더라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재개하고 이를 시장에서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지를 투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언급된 '일부 공매도'가 대형주 중심의 공매도를 이야기한 것이냐는 질문에 이 원장은 "불법 공매도를 사전적 내지는 실시간에 준하는 방식으로 차단하는 전산 시스템을 마련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다"며 "이 시스템의 구동 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재개 가능성과 방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일부 공매도를 재개하더라도 이 매매 기법이 단순히 주가를 내리는 방향으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공매도를 활용해 수익을 확보하는 투자 전략도 있는 만큼 공매도 재개가 증시 거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원장은 밸류업과 관련해 "일본은 오래전부터 지배구조 개선 등을 차근차근 추진해오던 과정 후반부에 주주 친화 정책을 펼쳤다는 점에서 우리와 시작 방식이나 시점이 다르다"며 "아직은 생소한 주주 친화 정책을 기업이 실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라고 전했다.

또 "주주 친화 정책을 펼치는 좋은 기업들을 묶어 인덱스를 만들고 이 인덱스를 기초자산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3, 4분기에 준비돼있다"고 덧붙였다.

밸류업에 이어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해선 "해당 법이 만들어지기 전인 2018년과 2019년보다 현재 개인 투자자들의 수도 늘어났고 특히 MZ세대들의 투자 관심도가 증가했다"며 "이들이 부동산 외에 자본시장을 통해서 부를 축적하고 증식할 기회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짚었다.

아울러 "금투세를 시행하게 되면 많은 금융소득을 가진 일부 투자자들이 이 자산을 유지하면서 세금을 낼 것인지, 혹은 그 자산을 빼서 다른 곳으로 갈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금융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gpar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8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