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시스템 마련 이후 재개 방침 변한 것 없어"

(서울=연합인포맥스) 박형규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재개와 관련한 대통령실과의 엇박자 논란에 재차 한발 물러서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해선 폐지에 대한 공론화된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27일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최근 뉴욕 출장 도중 시사한 공매도 일부 재개를 시사한 것과 관련해 "제 욕심으로는 가능한 범위 내 빨리 재개하면 좋겠다는 뜻이었다"며 "어렵다면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언제, 어떤 계획하에 할 수 있는지 향후 흐름을 이야기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그는 "뉴욕 IR 행사는 자본시장 발전이나 국내 금융시장의 선진화 노력을 알리고 그 과정에서 국내 투자자를 유치하는 자리였다"며 "자본시장 성장에 목적이 있었던 것"이라며 공매도 재개 시사 발언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이나 금융위원장이 말한 것처럼 전산시스템 마련 이후 재개 방침에 대해 변한 건 없다"며 "어느 정도가 공매도 방지를 위한 시스템인지는 추가적인 경과를 이번 달, 다음 달에 설명해 드리고 조금 더 소통하며 재개 방식과 범위를 의논하겠다"고 강조했다.

6월이란 구체적인 시점을 언급한 데 대해선 "전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여러 논의가 있었고 4월부터 해당 시스템을 시장에 태핑 중"이라며 "공매도 차단 시스템이 완전히 마련되기까지는 최소한 9개월~10개월 정도 일정이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금융투자소득세와 관련한 질문에 이 원장은 "금투세 관련해서 공론장에서의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다이나믹하게 변화한 자본시장 상황을 감안해 연말까지 적극적으로 토론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공매도를 임시로 유예한 것에 대해 당시 심도 있는 논의가 없었다"며 "금융 자산이 많은 이들이 금투세를 시행했을 때 국내 증시를 떠나 다른 데로 갈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금감원 내부에서도 금투세 폐지와 관련한 세미나를 조만간 열고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gpar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