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6조2천억 증가…전년 동월 대비 1천억↑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선 기자 = 지난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월보다 둔화했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는 가파른 수준을 나타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5조7천억원 증가했다.
8월(+9조2천억원)보다 증가 규모가 3조5천억원 줄었으나 전년 동월(+4조8천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규모가 9천억원 많아졌다. 올해 평균 증가 규모(+4.5조원)와 비교해도 많은 수준이다.
9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전월 대비 6조2천억 원 늘었다.
8월(+8조2천억원)보다 증가 규모가 2조원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6조1천억원)과 비교하면 1천억원 더 증가했다. 올해 평균치(+5조1천억원)도 웃돈다.
전세자금대출은 6천억원 증가해 전월(+7천억원)보다는 소폭 증가세가 둔화했다. 전년 동월(+1천억원)보다는 증가세가 가팔라졌다.
기타대출은 8월 1조1천억원 증가에서 9월 5천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전월의 일시적 증가 요인인 여름 휴가철 및 주식투자 자금 수요 등이 해소된 데다 추석상여금 유입과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전반적인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월에 비해 크게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정부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에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노력, 9월 추석 연휴와 대출 규제를 앞둔 8월 선조달 등의 영향이 더해지며 9월 주담대 증가 규모가 상당폭 축소됐다"라고 설명했다.
9월 중 은행 기업대출은 전월(+7조2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축소된 4조3천억원 증가에 그쳤다. 전년 동기(+11조3천억원)와 비교해도 상당폭 줄었다.
한은은 "추석 자금과 시설자금 수요에도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으로 중소기업대출 증가세가 둔화했고 대기업대출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상환 등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라고 설명했다.
회사채는 순상환이 지속됐다. 9월 중 1조3천억원의 순상환을 기록했다. 만기도래 규모 확대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CP·단기사채는 1조1천억원의 순발행을 기록해 전월(1조1천억원 상환)과 대조를 이뤘다.
9월 중 은행 수신은 18조9천억원 증가해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11조원 증가했고 정기예금은 6조3천억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14조6천억원 감소했다. 특히 머니마켓펀드(MMF)가 19조3천억원 급감했다. 이는 국고채 원리금 상환을 위한 정부자금 회수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출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주식형 펀드(+1조2천억원)와 기타 펀드(+3조5천억원)는 자금 유입이 지속됐으나 채권형 펀드는 3천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ks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