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IBK기업은행의 연체율이 1%를 돌파한 가운데 올해 말까지 이 은행의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가 1조7천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고금리 장기화에 더해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과 중국발 공급 과잉, 내수 부진이 맞물리면서 중소기업의 상환 여력이 급격히 악화된 영향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약 1조1천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4분기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천500억 원, 경쟁입찰을 통해 최대 4천억 원어치를 추가로 매각할 계획이다. 연간 기준으로는 1조7천500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은행권에서는 기업은행의 부실채권 매각 확대를 자산건전성 방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본다.

기업은행은 대출의 90%가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어 경기 둔화의 영향을 직접 받는다.

금융권 관계자는 "개인대출 비중이 높은 시중은행보다 기업은행은 연체율이 구조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며 "정책금융 역할로 취약 차주에 대한 지원이 많았던 만큼 경기 충격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기업은행의 올해 3분기 대출 연체율은 1.00%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02%) 이후 최고치다.

2분기(0.91%)보다 0.09%포인트(p) 상승했으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3%)보다 두 배 수준이다.

기업 대출만 보면 연체율이 1.03%로, 2010년 3분기(1.08%)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다.

부실이 급증한 배경에는 고금리 장기화와 제조업 경기 부진이 자리하고 있다.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핵심 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협력 중소기업들의 현금흐름이 막히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 중국발 공급 과잉, 내수 둔화가 겹치며 기업 전반의 자금 사정이 얼어붙었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부감사 대상 기업 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은 17.1%로, 2010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18.0%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은행들은 연체율 상승에 대응해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건전성을 관리하지만, 이는 구조적 해법이 아니란 지적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실채권 매각은 일시적으로 지표를 개선하지만, 근본적으로 상환 능력이 회복되지 않으면 부실은 다시 쌓인다"며 "기업은행은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구조조정과 지원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안팎에서는 기업은행의 연체율 추이를 경기 흐름의 한 단면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중소기업 부실이 확산될 경우 금융권 전반의 건전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산업별 리스크 관리 강화와 취약 업종 유동성 지원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
[IBK기업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g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2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