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지난 10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부동산 거래가 위축되면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감소했지만, 주식 투자 등을 위한 기타대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한은은 가계대출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추세적으로 증가세가 둔화하는 중이라고 평가했다.

한은이 13일 발표한 '10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전달보다 3조5천억원 증가했다.

지난 9월 1조9천억원으로 증가 규모가 축소됐던 데서 한 달 만에 다시 늘어났다.

10월 가계대출 중 주담대는 2조1천억원 늘었다. 지난 9월 2조5천억원에 비해 증가 규모가 축소되는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이 2천억원 감소했다. 지난 9월에는 4천억원 증가했던 바 있다.

 

한국은행

 

한은은 "전세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7~8월 주택거래 둔화의 영향이 반영되면서 증가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10월 기타대출은 1조4천억원 증가했다. 지난 2021년 7월 3조6천억원 증가한 이후 4년여만에 가장 큰 증가 규모였다. 지난 9월에는 5천억원 감소했던 바 있다.

한은은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연휴 등에 따른 자금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다만 주식투자 등 구체적인 항목별로 기타대출을 구분하지는 않는다고 부연했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전반적인 가계대출 상황에 대해 "기조적으로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기타대출의 경우 변동성이 커서 증가 추세를 보일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박 차장은 또 "향후 흐름은 주택시장 연계해서 보면 10·15대책 이후 주택가격 상승률은 축소되고 있지만 둔화세는 더디다"면서 "비규제지역의 풍선효과 조짐도 나타나 유의해야 한다"고 짚였다.

그는 "주택거래량도 규제 직후에는 시장이 관망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어 실거래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규제 직전 주택거래가 다소 증가한 부분은 11월 주담대 증가로 반영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10월 은행권 기업대출도 5조9천억원 증가해 전달의 5조3천억원에 비해 다소 확대됐다.

중소기업 대출이 5조7천억원으로 전달(4조원)에 비해 상당폭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대출은 전달 1조3천억원보다 대폭 줄어든 2천억원 증가에 그쳤다.

회사채는 7천억원 순발행되면서, 9월의 1조8천억원보다 큰 폭 증가세가 둔화했다.

한은은 "견조한 투자수요 등으로 순발행이 지속됐지만, 장기 연휴에 따른 전월 선조달의 영향으로 그 규모는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는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발행 등으로 순발행 전환했다.

한편 자산운용사 수신은 주식형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중심으로 큰 폭 증가했다.

MMF는 전월 28조원 줄었던 데서 10월에는 16조2천억원 늘었다. 분기말 유출된 법인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주식형펀드는 22조원 급증했다. 지난 9월 10조천억원보다 두 배 이상 증가 폭이 커졌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