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진정호 특파원 = 미국의 고용 둔화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규제 강화가 아니라 노동 수요의 약화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말했다.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출처 : 샌프란시스코 연은 홈페이지 캡처]

데일리는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에세이에서 "미국의 임금 상승률 둔화는 기업들이 단순히 신규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노동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미국의 월간 신규 고용은 2024년 약 15만명 수준에서 올해 상반기엔 약 5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데일리는 "노동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공교롭게도 노동 공급이 동시에 감소하면서 실업률이 안정된 것처럼 보였을 뿐"이라며 "노동시장이 식어가면서 명목 임금과 실질 임금 상승률 모두 전반적으로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외국 출신 노동자의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도 이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난다며 "만약 고용 증가세 둔화가 구조적인 요인, 즉 노동 공급 부족 때문이었다면 그 반대 현상이 나타났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평가는 데일리가 다소 비둘기파적인 기조를 유지했던 이유를 설명한다. 중앙은행의 금리 조정은 경제 활동에 따라 변하는 노동 수요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외국인 노동자 감소 같은 구조적 변화에는 영향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된다.

데일리는 또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이 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지금까지 관세의 영향은 주로 상품 부문에 국한돼 있고 다른 부문으로 확산됐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지난 두 차례 회의에서 25bp씩 금리를 인하한 것은 "적절한 조치였다"면서도 "미국 경제가 여전히 인플레이션 재확산 위험에 노출된 만큼 정책을 올바르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양측의 근거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hji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3시 0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키워드

#AI뉴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