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세로 출발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해제된 가운데 인공지능(AI) 거품론이 여전히 시장에 머무르면서 기술주에 하방 압력을 넣고 있다.

13일(미국 동부시간) 오전 10시 13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3.26포인트(0.11%) 하락한 48,201.56을 가리켰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6.22포인트(0.38%) 내린 6,824.70, 나스닥종합지수는 170.91포인트(0.73%) 떨어진 23,235.55에 거래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간밤 임시 예산안에 서명하면서 셧다운은 역대 최장인 43일의 기록을 끝으로 해제됐다. 셧다운이 종료된 만큼 그간 발표가 지연됐던 주요 경기지표의 다음 주부터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셧다운 해제에도 투자 심리는 위축돼 있다. 셧다운 해제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선반영된 데다 금리인하 기대감은 오히려 약해졌기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46.4%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37.1%에서 가파르게 올랐다. 이에 발맞춰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4bp 넘게 오르고 있다.

금리동결 베팅을 자극할 만한 뚜렷한 재료는 눈에 띄지 않는다. 다만 셧다운 기간에 쌓였던 주요 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이 한꺼번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매파 성향으로 분류되는 베스 해맥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도 "현재로서는 노동시장이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 확률이 높다고 보지 않는다"며 "이 시점에서 통화정책이 고용시장에 대해 추가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꺼번에 쏟아질 경제지표에 대한 불확실성도 투심을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BMO프라이빗웰스의 캐럴 슐라이프 수석 시장 전략가는 "정부의 정책이 곧 재가동될 것인데 물가와 고용 지표의 발표 누락과 해당 지표들이 어떻게 전개됐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며 "정부 조치와 경제 데이터 발표가 재개되면 앞으로 몇 주 동안 시장이 급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증시를 맴도는 AI거품론은 언제든 주가에 하방 압력을 넣을 수 있는 재료다. AI 및 반도체 관련주가 고점이라는 분석이 이어지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 넘게 떨어지고 있고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TSMC도 2% 넘게 하락 중이다.

최근 기술주와 달리 견고하게 올랐던 우량주도 이날은 약세다. 엔터테인먼트 제국 월트디즈니가 3분기에 엇갈린 실적 방향성을 드러내면서 주가가 8% 넘게 급락한 여파다. 디즈니의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매출은 하회했다.

업종별로는 의료건강과 에너지, 필수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약세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강보합인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를 제외하고 모두 약세다. 알파벳도 2% 넘게 밀리고 있으며 테슬라는 4.19% 하락세다.

유럽증시는 혼조 흐름이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0.32% 내린 5,768.93에 거래 중이다. 독일 DAX 지수는 0.92% 떨어지고 있고 영국 FTSE100 지수는 하락률이 0.79%다. 프랑스 CAC40 지수만 0.29% 상승 중이다.

국제 유가는 전날 폭락 후 반등을 시도 중이다.

같은 시각 근월물인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85% 오른 배럴당 58.99달러를 기록 중이다.

jhji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1시 1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