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현대모비스[012330]가 올해 개발한 모빌리티 신기술 50개를 고객사와 협력사에 공개했다. 앞으로 전동화와 모듈 사업 부문을 융합한 통합 설계기술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테크 브릿지(Tech Bridge) 2025'를 개최하고 배터리와 구동 부품 등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섀시 모듈과 운전석(칵핏)·실내 조명·외장 등 모듈 부문에서 22개의 신기술을 선보였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부문별로 전시회를 운영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합쳤다.

전동화 부문의 우수 연구개발 사례로는 도심형 소형 전기차에 특화된 120kW(킬로와트)급 PE(Power Electric)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모터와 인버터, 감속기를 통합한 구동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중형과 대형 전기차에 이어 전기차 전 차종을 아우르는 구동 시스템 라인업을 확보하게 됐다.

전기차의 충전 속도를 2배 가까이 높인 신기술도 내놨다. 차세대 22kW급 ICCU(통합 충전 제어 장치)는 고속 충전 시에도 배터리의 전압과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충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 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이외 섀시 모듈에서 저상화 기술, 칵핏 모듈 분야에서 저전력 LED 기반 실내 무드 조명 제어기 등이 주목받았다.

현대모비스는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Automotive News)가 선정한 글로벌 100대 부품사 중 지난 3년간 6위를 달성했다. 부품사의 역량을 측정하는 종합 척도로 여겨지는 전동화와 모듈 부품에서 뛰어난 역량을 인정받았다. 배터리 시스템이나 모듈 부품과 같은 초대형 부품을 적시에 공급하기 위해서 대규모의 투자, 설계, 생산기술, 품질, 양산 경험 등을 동반하는 점도 높이 평가받았다.

현대모비스 '테크 브릿지(Tech Bridge) 2025'
[출처: 현대모비스]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