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IT·QD-OLED·오토·올레도스…기술 리더십 유지 당부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삼성디스플레이가 내년 양산 예정인 8.6세대 IT(태블릿/모니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수익성 확대에 집중한다.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사장)는 19일 직원과의 소통행사 '디톡스(D-Talks)'에서 해당 생산라인의 수익성을 경쟁사가 추격할 수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출처:연합뉴스 자료사진]

 

또한 폴더블 및 차별화 기술로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주요 신제품의 완성도를 제고하기로 했다. 전후공정 제조 경쟁력을 혁신해 고객 신뢰도 높인다.

아울러 혁신 기술 및 차세대 기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사장은 폴더블과 IT용 OLED, QD-OLED, 차량용 디스플레이, 확장현실(XR)용 올레도스(OLEDoS) 등 5대 중점사업에서 견고한 기술 리더십을 갖추자고 강조했다.

그는 "2030년에는 폴더블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차별화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판매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시장 침투가 본격화된 IT OLED는 고객 수와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판매량을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XR용 올레도스 및 신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했다.

경쟁사 추격에 대한 우려를 전하며 또 다른 비상을 위한 실행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사장은 "경쟁사의 기술 추격이 거센 상황에서 우리 제품의 완성도나 제조 경쟁력이 고객사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기술, 고객, 실행이라는 세 가지 본질과 일하는 문화를 마음에 새기자"고 당부했다.

올해 경영 상황에 대해서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신제품 출시에 적기 대응하고 핵심 고객사와 전략적 협업을 강화했다"며 "특히 QD-OLED 모니터 판매가 확대돼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자동차용 OLED 분야에서도 신규 과제를 수주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