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추격 등 위기 직면…생산성·경쟁력 제고 노력 필수"

"맥스, 생산성 획기적 제고…제대로 못하면 기회 없어"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석유화학과 철강을 포함한 우리 기업들이 "생존 문턱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업이 불확실한 경영 환경과 중국의 거센 추격 등으로 위기에 직면한 만큼, 생산성·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을 정부가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은 한번 사라지면 다시 만들기 어렵다.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이라며 "생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걸 정책의 최우선에 놓겠다"고 말했다.

 

'철강산업 지원' K-스틸법 의원 질의에 답하는 김정관 장관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철강 산업을 지원하는 'K-스틸법'에 대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21 hkmpooh@yna.co.kr

 

김 장관은 23일 오전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중국은 매달, 매년 새로운 기업이 생겨나고 순환하지만, 우리 산업계는 수년째 동일한 산업구조가 유지되고 있다. 30년 전, 20년 전 기업이 지금도 똑같다"며 "산업과 기업이 정체돼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미 관세 협상 때 러트닉 상무장관이 과거 미국이 조선, 자동차에서 '넘버원'이었는데 지금은 그 기업들이 다 어디 갔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했다"며 "미국에서 조선업이 사라진 것처럼 우리도 기업이 한번 사라지면 다시 생겨나기 어려운 위기다. 기업이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국민과 정치권, 언론 등이 같이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 일환으로 최근 정부와 업계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석유화학 구조 개편을 끝까지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정부가 법적, 제도적으로 금융 부담을 낮춰주고 지원해주는 동시에 기업도 자구 노력을 충분히 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석화와 철강 같은 산업의 기초가 무너지는 걸 반드시 막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제조업 인공지능 전환(MAX·맥스) 얼라이언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제조업에 AI를 결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김 장관은 "취임 후 가장 신경을 많이 쓴 이슈가 맥스 관련"이라며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도 틈틈이 맥스를 챙겼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김 장관은 "제조업에서 중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건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라며 "AI를 더하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시행착오를 줄이고 시간과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대표 맞이하는 이재명 대통령
(경주=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면담을 위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맞이하고 있다. 2025.10.31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어 "얼마 전 한국에 왔던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이 '글로벌 AI 허브'가 될 것이라고 한 것은 주요 산업 데이터가 풍부하게 축적된 나라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AI 시대의 핵심 원료인 '데이터'가 풍부하고 삼성, SK 등의 '기술력', '제조 역량'이 있어 '3박자'를 모두 갖췄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MAX는 대기업이 국내 중견·중소, 소재 기업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에 있는 기업과도 협력하는 등 공급망 국산화와 국내 생태계 구성도 의미한다"며 "MAX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우리에게 기회가 없다"고 단언했다.

다만 최근 정부가 확정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지나치게 산업계에 부담된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앞서 정부는 2035년 NDC로 2018년 대비 53~61% 감축을 확정하고 국제 사회에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산업계와 기업이 부담(감축)해야 하는 양은 53%가 아니라 24% 정도"라며 "전력 68%, 건물 53% 등에 비해 속도 측면에서 다른 분야보다 감축량이 가장 적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 저탄소로 가야 한다는 방향이 맞다. 기업 역시 부담이 있지만 이렇게 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걸 알고 있다"며 "저탄소 전환할 때 연구개발(R&D)과 설비 전환 같은 재정 지원을 확실히 하겠다. 단순 환경 이슈가 아니고 재정, 산업과의 공통 이슈로 추진해 저탄소 시대가 됐을 때 성장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1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