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적 측면 외 사회적 가치도 포함해야"
"KPI, 사회적 가치 지속 높여가는 게 목표"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새로운 자본주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래야 환경 문제와 사회 양극화 등 우리가 직면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면서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사회적 가치 측정과 관리를 제시했다.
SK그룹은 최 회장이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 포럼 2025'에서 "현재의 자본주의하에서 우리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며 "이를 해결해 얻는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적 측면만 집중하고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는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가치란 경제적 이윤 창출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서 사회적 가치의 측정과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적 가치는 쉽게 측정할 수 없어 창출을 위한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뤄지지 않았다. 측정에 많은 거래 비용이 필요했고 데이터 부족 등의 한계가 많았다"며 "현재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이라는 아주 좋은 도구가 있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AI 등 기술 변화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취지다.
이어 "체계적인 측정과 평가가 가능해지면 자원을 다르게 배분하고 행동을 바꾸기 위한 인센티브를 만들 수 있다"며 이것을 '새로운 자본주의'라고 불렀다. 자본주의가 사회적 가치까지 포함하게 되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훨씬 더 나은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거란 설명도 덧붙였다.
참석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SK가 계열사 단위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측정'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SK에서는 계열사별로 일자리 창출과 납세, 환경 영향, 지역사회 기여 등 다양한 항목을 플러스·마이너스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렇게 측정이 시작되면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적 가치 창출에 머물지 않는다"며 "사회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것을 넘어, 매년 이를 지속해 높여가는 것이 목표가 됐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이날부터 이틀간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리는 '도쿄 포럼 2025'에서 자본주의 심화에 따른 복합적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 측정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도쿄 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급격한 기술 발전, 지정학적 불안정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매년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 올해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열렸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