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산업통상부가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투자액 1천500억달러는 대출과 보증을 포함하는 등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구성됐다고 강조했다.
김의중 산업통상부 조선해양플랜트과 과장은 25일 강남구 테헤란로 파르나스타워에서 열린 '한미 조선협력(MASGA) 추진을 위한 기업 전략 세미나'에서 "캐시(현금) 중심의 2천억달러 투자와 달리 1천500억달러는 저희가 메뉴판을 짜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과장은 "미국에도 도움이 되도록 판단하면서 우리 기업에 최대한 유리하게 만드는 양질의 프로젝트만 준비가 된다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목표"라며 "1천500억달러는 직접 투자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대출과 보증, 기타 다른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2천억달러의 현금 투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투자 승인을 하게 돼 있다"며 "1천500억달러의 (마스가) 투자는 저희가 투자 프로젝트를 준비해서 미국의 승인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마스가의 승인은 투자 자체를 승인한다는 뜻이 아니고 저희가 투자하는 부분에 대해 (미국이) 크레디트를 감가시켜주는 것이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과장은 한미 협상을 통해 국내에서 미국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미국으로부터 해외 건조의 예외를 얻은 핀란드의 사례를 언급하며 "우리나라가 선박 건조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데 충분히 (국내 건조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미국 정부를 상대로 제도적인 예외를 인정해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현재 마스가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관련, "양국 간 조선 협력 채널을 만들기로 합의가 됐고 현재는 양국 상무부 간에는 활발하게 대화를 해나가고 있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협력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형 조선사들 중심으로 미국과 함께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과장은 산업부가 준비 중인 마스가의 세부 프로젝트도 소개했다.
2026~2028년 3년간 약 200억원을 투입하는 한·미 조선·해양 산업기술 협력센터 구축 사업은 조선 협력 관련 현지 거점을 마련하는 계획이다.
김 과장은 "2개 정도를 거점을 만들 생각"이라며 "미국과 어디에, 어떻게 만들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 업체의 미국 진출을 위해서는 3년간 230억원을 들여 스마트 생산과 제품 인증·인허가 절차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미국의 함정 규격과 기준을 충족하도록 중소 조선사의 산업전환을 지원하고 유지·보수·운영(MRO)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495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김 과장은 "마스가가 대형 조선사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며 "생태계에 계신 모든 분이 이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충분히 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마스가 모델을 전 세계로 확대하는 계획까지 세웠다.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인도 등 선박 수요가 높고 정부의 추진 의지가 강력한 국가에 마스가에서 발전시킨 조선 산업 협력, 인력 양성 지원 프로그램들을 이식해 'K-쉽야드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과장은 "중국과 한국의 싸움이 아니라 K-조선의 기술·노하우를 이식받은 조선 동맹국들과 함께 싸워야 중국의 물량 공세를 이길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설명했다.
jh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