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직접 들었다는 곳과 아니라는 곳이 엇갈리면서 혼선이 이어지고 있는데, 뜬소문이겠죠. 말도 안 되는 일이잖아요."
금융기관 외화채 발행 등을 두고 증권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일부 금융지주사 및 은행 등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외화채 발행을 자제하라는 메시지를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금융당국은 국내 금융사의 해외채권 발행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강원도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 등으로 국내 채권 시장이 얼어붙자 해외 조달로 문을 넓혀주자는 의도였다.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분위기는 뒤바뀌었다. 금융당국이 금융기관 등 국내 발행사들의 조달 계획을 주시하면서 일종의 눈치 보기가 시작됐다. 금융감독원이 은행 및 지주사의 외화채 발행 자제를 권고했다는 보도마저 이어지면서 발행사와 증권업계의 혼선은 더욱 가중됐다.

A 업계 관계자는 "통상 외화채의 경우 기획재정부와 논의하는 게 일반적이었는데 이제 은행 등 일부 발행사는 주기적으로 금융감독원에도 조달 계획 등을 보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화채를 둘러싼 금융당국의 관심이 커질수록 발행사들의 혼선은 커지고 있다. 발행 자제 권고를 들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뒤섞이면서 내년 외화채 조달 채비에 나선 기업들의 불안감이 한층 가중된 것이다.

외화채 조달 혼선은 어제오늘 일만은 아니다. 당초 금융사의 외화채 조달 확대 논의가 나왔을 당시에도 발행사들의 혼돈이 이어졌다.

외화채 조달로 선회할 수 있겠다는 기대에 발행 가능성 등을 타진하고자 해도 당국의 명확한 답변을 기대하긴 어려웠다. 조달이 시급한 발행사 분위기와 달리 당국은 아직 논의 단계일 뿐 의사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대답으로 추진을 가로막았다.

문제는 발행 확대와 자제는 시장에 던지는 의미가 매우 다르다는 것이다. 발행 확대의 경우 조달처를 일부 선회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수혜로 일컬어질 수 있지만, 자제의 경우 관치가 될 수 있다.

B 업계 관계자는 "규제 기관이 나서서 조달을 좌우하는 건 전세계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조달 제한 등으로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을 져 줄 수 없는 곳에서 비율 완화 등이 아닌 발행을 가로막는 건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C 업계 관계자 역시 "과거 금융위기 등의 경험 때문인지 생각보다 은행권의 외화 유동성 비율 등이 상당해 조달을 제한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컨트롤타워 부재 등에 대해 아쉬움도 나온다. 최근 채권시장 불안 등을 둘러싸고 금융당국 등이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큰 중심축 없이 각 기관의 협의로 방안이 나와 적당한 문의처마저 마땅치 않다는 지적이다.

외화채 조달 역시 그동안 기업들은 기획재정부로부터 윈도우(window)를 받는 형태로 당국과 논의를 이어갔으나 갑작스레 금융감독원이 논란의 중심에 서 시장을 더욱 어리둥절하게 했다.

D 업계 관계자는 "발행사 등 시장 관계자조차 언론 보도 등을 통해 당국의 시장 안정화 조치를 확인하는 일이 비일비재한데 이를 적용하기 위해 당국 각 기관에 문의해도 명확한 지침을 주지 못해 더욱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시장 경제 등을 둘러싼 컨트롤타워가 보이지 않는 모습"이라고 귀띔했다. (투자금융부 피혜림 기자)
phl@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