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부진 여파로 인터넷전문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이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수익여신은 원리금은 물론 이자조차도 받지 못하는 '악성' 대출로, 중저신용자 대출이 늘어나는 속에서 고금리 파고를 넘지 못하는 차주들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지난해 말 기준 무수익여신 잔액 규모는 총 4천86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의 2천555억원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가 2022년 1천96억원에서 1천881억원으로 785억원 늘었고, 토스뱅크는 454억원에서 1천321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1천5억원에서 1천666억원으로 확대됐다.
전체 여신 중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3사 모두 높아졌다.
토스뱅크가 1.36%로, 1년 전의 0.53% 대비 2배 이상 높아졌고, 케이뱅크는 같은 기간 1.02%에서 1.36%로 0.34%포인트(p) 올랐다.
카카오뱅크 역시 2022년 0.36%에서 지난해 말 기준 0.43%로 소폭 높아졌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원금을 갚지 못한 대출에 이자를 상환하지 못한 대출을 반영해 무수익여신을 산정한다.
이자 수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은행에서는 무수익여신을 고정이하여신보다 더 부실한 채무로 취급한다.
무수익여신이 늘어나면서 은행들의 대손상각비도 늘었다.
대손상각비는 채권 중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해 손실로 처리된 금액을 뜻한다. 대손상각비가 늘어나면 비용으로 처리되는 금액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도 감소한다.
지난해 말 인터넷은행 3사의 대손상각비는 8천827억원으로, 1년 전의 4천945억원 보다 3천882억원 급증했다.
토스뱅크가 3천41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각각 2천483억원과 2천926억원이었다.
뿐만 아니라 잠재 부실채권으로 향후 자산건전성 악화를 가늠할 수 있는 '요주의여신'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요주의여신 잔액은 3천641억원으로 전년(2천259억원) 보다 60% 넘게 증가했다. 요주의이하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2.1%에서 2.6%로 올랐다.
토스뱅크의 요주의여신도 2022년 955억원에서 지난해 2천912억원으로 늘어 요주의이하여신비율이 1.1%에서 2.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22~2023년 고금리 국면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인터넷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확대한 것도 건전성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 대출 목표 달성을 위해 금융취약계층 대상 대출을 대폭 늘리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도 함께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무수익여신이 늘어난 만큼 대손충당금적립도 충분히 하고 있어 건전성 측면에서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sgyoon@yna.co.kr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