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대출금리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오를수록 대출 받은 차주의 소비 지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에 원리금상환 부담이 가중된 만큼 정책금리가 인하되기 시작해도 가계부채 잔액에 적용되는 금리 하락까지는 시차가 존재해 차주의 소비 개선이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p) 오르면 차주의 DSR 평균은 1.9%p 오른다"며 "금리 상승에 따른 DSR 상승효과와 DSR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를 합하면 대출금리 1%p 상승은 차주 소비지출을 0.44% 감소시킨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DSR이 1%p 오를 경우 차주의 소비지출은 평균 0.23%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했는데, 이에 따라 작년 DSR이 오른 차주의 소비 여력은 상당히 제한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부채를 보유한 차주의 DSR은 평균 6.3%p 상승했고, DSR 수준이 20% 이상인 차주 비중은 46.1%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차주의 DSR이 높을수록 금리 상승에 따른 DSR 상승효과가 더 컸다"며 "고금리가 장기화할 경우 소비 여력이 계속 제약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DSR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보다 DSR 하락에 따른 소비 증가 효과는 미미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 하락이 이자비용 감소를 통해 차주의 소비 여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나, 향후 가계대출 금리 하락이 가시화하더라도 차주의 소비 회복 속도는 금리 상승 시 감소 속도에 비해 느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책금리 인하에도 가계부채 잔액에 적용되는 대출금리 하락은 통상 3개월에서 1년의 시차가 있다"며 "금리 변화에 따른 소비 변화의 비대칭성을 고려하면 대출금리 하락 이후에도 소비 개선 정도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