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정산 지연 계속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싱가포르 기반의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큐텐 계열사인 위메프와 티몬 정산 지연 사태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의 모습. 2024.7.24 ksm7976@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이수용 기자 = 티몬·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로 판매자들의 '줄도산' 우려가 커지면서 판매·정산 과정에서 선정산대출을 제공했던 은행권도 대응책 논의에 나섰다.

금융당국 또한 티몬·위메프의 대주주 측에 판매금 정산을 위한 자금조달 계획 제출을 요구하는 등 피해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선정산대출을 취급했던 곳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SC제일은행이다.

일부 시중은행은 현재 판매자들이 받은 대출에 대해 만기연장을 포함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내부 논의에 착수한 상태다.

국민은행은 30여곳 이상의 플랫폼에, 신한은행과 SC제일은행의 경우 5곳 안팎의 플랫폼에 선정산대출을 지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규모가 크지 않다고 판단한 일부 은행들은 일단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까지 나선 만큼 은행권도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가 된 플랫폼들 또한 사태 수습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일단 상환 능력이 없는 영세 판매사에 대해서는 만기연장 등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 플랫폼에 입점한 6만곳 가운데 상당수는 중소 판매자다.

금융당국 또한 이번 사태를 촉발한 티몬·위메프를 강하게 압박하는 모양새다.

전날 금융감독원 금융IT안전국은 티몬과 위메프 측에 사태 해결을 위한 자금조달 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사태 수습은 김병칠 전략감독 부원장보가 직접 맡았다.

김 부원장보는 2021년 디지털금융감독국장 시절 '머지포인트' 사태도 수습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특히. 금감원은 단순 모니터링 차원을 넘어 티몬과 위메프의 유동성 현황과 소비자 피해 상황을 면밀 점검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또한 금융데이터정책과를 중심으로 사태 수습을 진행 중이다.

다만, 선정산대출을 제공했던 은행들의 지원도 필수적인 만큼, 향후 금융위 은행과도 관련 사안을 직접 챙길 것으로 보인다.

선정산대출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판매자가 은행에서 판매대금을 먼저 지급받고, 정산일에 은행이 해당 플랫폼에서 대금을 받아 자동 상환하는 방식이다.

일차적으론 플랫폼에 상환 의무가 부여되지만, 플랫폼이 상환 능력을 상실한 경우 판매사가 이를 떠안게 되는 구조다.

금융감독원의 '7개 플랫폼 입점업체 정산대금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2022년 4년간 선정산 대출총액은 1조3천억원 수준이다.

문제는 티몬·위메프의 매출과 거래액이 급감하고 유동성이 계속 악화할 경우 정산 가능성이 더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 채권추심이 영세 판매사로 집중될 경우 '줄도산'에 따른 금융권 피해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jw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2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