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으로 불거진 내부통제 미비로 책임론이 불거진 조병규 우리은행장의 거취가 이달 31일 결정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는 오는 31일 회의를 열어 조 행장의 연임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앞서 우리금융은 지난 17~18일 이사회와 겸해 진행된 자추위에서 조 행장의 연임 여부에 대해 우선 결론내는 것이 향후 절차를 원만히 진행하는 데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 행장의 거취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1차 후보군(롱리스트)을 추리는 작업을 할 경우불필요한 오해와 논란이 지속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31일 회의에서 조 행장의 연임 여부에 대해 논의해 연임에 대한 의견이 많을 경우 별도로 롱리스트를 추리지 않고 차기 행장 선임 프로세스도 가동하지 않기로 했다.
반면 연임이 불가하다는 결론을 낼 경우, 조 행장을 제외한 후보들로 롱리스트를 확정하고 임종룡 회장 취임 이후 도입한 '은행장 선임 프로그램'을 재가동한다.
31일 자추위가 조병규 행장 체제로 가느냐, 중단하고 새로운 경영진으로 가느냐를 결정하는 분기점이 되는 셈이다.
일각에선 조 행장을 롱리스트에 포함시켜 은행장 선임 절차를 진행하는 구도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하지만 조 행장 거취를 사전에 결정짓지 않고 기존 프로그램을 가동할 경우 불공정한 경쟁구도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조 행장의 경우 그간 준수한 실적을 거뒀다는 점과 상대적으로 행장 재직 기간이 짧았다는 점, 지난해 초 행장 선임 프로세스를 거치면서 검증을 한 번 마쳤다는 점 등이 강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조 행장을 포함해 선임 절차를 진행할 경우 다른 후보들은 '들러리' 역할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며 "자추위를 개시한 상황에서도 별다른 하마평이 없었던 것도 비슷한 이유"라고 전했다.
다만, 내부통제 미비에 따른 '책임론'에 대한 내·외부 온도차가 극명한 점은 자추위에도 부담스러운 요소다.
내부에선 조 행장의 연임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 상당하지만, 금융당국의 완강한 입장을 완전히 배제한 채 연임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자칫 금융당국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면으로 받아치는 모양새로 비춰질 수도 있어서다.
금융권의 다른 관계자는 "결국 자추위는 조 행장의 연임 여부를 심사숙고한 뒤 '정면돌파'할 지, 완전히 새로운 체제로 전환할 지를 결정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며 "복잡한 이해관계가 맞물린 사안인 만큼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고 전했다.
jw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