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박준형 기자 = 기획재정부는 "11월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 영향이 해소되면서 10월보다는 소폭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경임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10월은 석유류, 농축수산물 기저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는 1.3% 상승했으며,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해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1.8% 올랐다.
특히 석유류 물가는 중동 불안에도 국제유가 상승 폭 제한, 지난해 가격 강세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9% 떨어졌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채소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과일류 가격 하락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로 상승 폭을 축소했다.
근원물가 전망에 대해 황 과장은 "특별한 요인이 없기 때문에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물가상승률 둔화가 소비 부진에 따른 경기 둔화 시그널이냐'는 질문에는 선을 그었다.
황 과장은 "높은 상승률을 유지했던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이 낮아진 것이 가장 큰 영향"이라며 "근원물가도 소폭 낮아졌지만, 2% 내외 흐름을 보여 수요측 요인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정부는 채소류 등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여전한 만큼 체감물가 안정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황 과장은 "11월 중순부터 12월 상순까지 배추(2만4천t)와 무(9천t) 공급을 확대하고, 배추·무·젓갈류 등 최대 50% 할인 지원 등으로 소비자 부담을 경감할 계획"이라며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물가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jhpark6@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