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무디스가 국내은행에 대한 내년도 전망을 올해에 이어 '부정적'(Negative)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25일 무디스와 한국신용평가의 공동주최로 전일 열린 '한국 금융기관 및 비금융 기업 신용 전망' 미디어 브리핑에서 무디스는 "국내 은행 시스템 전망은 2025년에 이어 부정적"이라며 "영업 환경 건전성, 자본 적정성에 대한 악화 가능성이 반영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손정민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은행의 '부정적' 전망 유지에 대해 "국내은행의 영업 환경은 경제 성장률 개선과 금리 인하 기조에도 불구하고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높은 외환 변동성과 관세 정책에 따른 수출 성장세의 둔화 가능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무디스는 국내은행의 영업환경, 자산건전성, 자본 적정성 항목이 모두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손 애널리스트는 은행의 자산 건전성은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른 내수 회복으로 개인 사업자와 가계대출의 건전성은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기업 차주들의 수익성 악화 가능성이 은행 전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 애널리스트는 "자본 적정성에는 생산적 금융과 관세 영향 기업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확대에 따라 은행들의 위험가중자산(RWA)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위험가중치(RW) 상향 조정에 따른 영향도 반영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생산적금융과 포용금융을 강조하며 가계부채 제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국내 은행의 수익성은 순이자마진(NIM) 하락 압력에도 대손비용 안정화에 따라 대체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은행들은 전반적으로 상업용 부동산(CRE) 익스포저가 자산건전성에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무디스는 은행 시스템에 대한 영향에 있어 금리 인하의 시기와 횟수에 관한 기대감이 약화한 점도 건전성 측면의 하방 지지를 제약한다고 봤다.
손 애널리스트는 "관세 무역 정책과 외환변동성과 성장 등 여러 불확실성에서 비롯되는 다운사이드 리스크에서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이 고려됐다"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한 것도 부정적 전망에 근거가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신용평가는 국내 금리 인하가 조만간 멈출 것으로 보며 특히 카드사나 캐피탈사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봤다.
김형석 한신평 본부장은 "시장에서 조달해야 영업을 할 수 있는 카드사나 캐피탈사는 금리에 민감한 업종으로서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경제 변수와 관련해 기업들의 실적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따라 수익성과 건전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sm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