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중국 경제가 유동성 함정 위기에 직면하며 증시 디스카운트가 확대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중국 정부의 반부패 정책 아래 중국 국영기업(SOE·State-Owned Enterprises)에 선별 투자를 권고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지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반부패 개혁'은 중국 증시의 장기적인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중국 내 국영기업 우대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 정책의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중국 본토 SOEs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를 권고한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의 집권이 장기화하며 핵심 정치사상인 반부패 개혁이 중국 증시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반부패 정책 아래 민간기업(POE)을 향한 규제와 과세 조치 등이 강화되며 수익성이 약화하고 있다. 반면 국영기업의 중국 정부 정책에 의한 자원배분 편중은 심화되고 있다.

우 연구원은 "중국 투자 성장을 주도했던 민간 투자 부분은 부진하며 지난해 하락하기 시작했다"며 "금융기관은 정부의 시장 개입을 두려워하며 리스크가 제한적인 국영기업 우대 기조가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중국 회사채 시장의 냉각 속에서 중국 현지 금융기관들의 대출금 조기 상환 요구가 늘고 있다. 중국 민간기업은 자금조달 어려움이 커지며 국영과 민간 기업 간 디폴트 비중 격차가 커지고 있다.

우 연구원은 "집권 3기 시 주석은 어김없이 반부패 규제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며 "향후 금융기관의 민간 기피와 국영 우대 기조가 강화되며 민간 기업의 크레디트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 규제와 크레디트 이슈 등으로 중국 시장을 주도했던 대형 중국 민간기업의 시장 지배력은 약화하고 있다. 기업 반독점 규제 정책 기조는 전환됐지만, 여전히 중국 정부의 시장 개입 불안으로 알리바바, 텐센트 등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의 주가는 부진하다.

헝다(恒大·에버그란데)그룹과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 등 대형 민간 부동산 개발사는 금융상품 거래가 중지되며 계열사가 국영기업에 인수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우 연구원은 "중국 국영기업의 상대적 주가 랠리가 지속되며 시가총액 규모가 현지 주식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시작했다"며 "지정학적 리스크와 중국 정부 규제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홍콩 증시보다는 국영기업 상장사가 많아 중국 본토 증시가 선호된다"고 설명했다.

출처: IBK투자증권


한편 중국 주식형 펀드 자금이 순유출을 보이는 가운데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 잠재력이 높은 포스트차이나에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우 연구원은 부연했다.

그는 "차이나 리스크 민감도가 낮으며 최근 포스트차이나 신흥 국가에 자금 유입세가 양호하다"며 "글로벌 외국인 직접투자(FDI) 상위 국가인 인도, 브라질, 멕시코가 제조업 강국으로 글로벌 탈중국 흐름 속 대안처로 부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sm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1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