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회의서 '손태승 친인척 부당대출' 경영진 대응 질타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한 현 우리금융 경영진의 대응을 작심하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20일 임원회의에서 "우리금융이 보이는 행태를 볼 때 더는 신뢰하기 힘든 수준"이라며 강하게 지적했다.
이 원장이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해 직접적으로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원장은 "손 전 회장의 부당대출 건의 경우 제왕적 권한을 가진 전직 회장의 친인척에게 수백억원의 부당대출을 실행해 대규모 부실이 발생한 사안으로 은행 내부 시스템을 통해 사전적으로 인지할 수 있었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사후적으로도 부당대출과 관련한 조직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엄정한 내부감사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조치했어야 한다"면서 "기관 자체의 한계 등으로 문제점을 밝혀내지 못할 경우, 계좌추적권·검사권 등이 있는 금융당국이나 수사기관 등에 신속히 의뢰하여 진상을 규명해 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하지만 우리은행은 친인척 대출에 대해 몰랐었다는 전직 회장의 발언을 옹호하면서 심사소홀 등 외에 뚜렷한 불법행위가 없었다며 금감원에 보고하지 않은 것을 합리화하는 행태를 지속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리금융이 보이고 있는 행태를 볼 때 더 이상은 신뢰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판단된다"고 직격했다.
이 원장은 "은행 부문 현업부서는 이번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 및 재발 방지에 힘써달라"면서 "이와 유사한 행태를 보이는 금융회사는 시장에서 발을 못붙일 정도로 강한 법적 권한을 행사하는 등 엄정한 잣대를 들이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현장 검사를 통해 우리은행이 2020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 등에 총 42건, 616억원의 대출을 한 사실을 적발했다.
우리은행은 올 초 이같은 사실을 알고 관계자들을 면직 등 징계조치 했지만 금감원에 따로 보고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관련 제보를 받아 6월에야 우리은행 현장검사에 나서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