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우리은행의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에 대한 부정적 대출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는 가운데, 실제 대출 규모가 1천억원대에 달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대출 규모 616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당국의 추가 검사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 뿐 아니라 우리종합금융과 우리저축은행 등 계열사에서도 부정 대출 시기에 비슷한 자금 지원이 있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어 향후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연합인포맥스 취재에 따르면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 등에 본격적으로 대출이 이뤄진 지난 2018년 이후부터 우리은행 여신관리부로 이관된 관련 대출은 1천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금감원 검사에서 적발된 규모는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실제로 대출이 집행돼 상부에 보고된 것만 1천억원 정도 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상환이 되서 잡히지 않거나 다른 루트로 집행된 것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는 데 (금감원이 발표한 금액과) 내부에서 파악하고 있는 숫자와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현장 검사를 통해 우리은행이 2020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 등에 총 42건, 616억원의 대출을 한 사실을 적발했다.

해당 대출 가운데 부적절한 담보나 보증인을 세웠는데도 심사를 통과하거나 허위로 의심되는 서류를 냈는데도 별도 사실 확인 없이 부적정하게 이뤄진 대출이 28건, 350억원에 달했다.

금감원은 전체 대출건 중 19건(269억원)에서 부실이 발생했거나 연체중이라고 했지만, 내부적으로 손실을 은폐하고 넘긴 액수도 상당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우리은행 뿐 아니라 우리종금, 저축은행 등 계열사를 통해 친인척에게 대출을 해준 규모도 수십억원가량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신용도가 낮은 차주에게 돈을 빌려주기 쉬운 계열사를 동원해 부족한 자금을 메워줬다는 것이다.

이들 계열사에선 담보가 아닌 신용으로 손 전 회장의 친인척에게 대출을 실행하려다 내부적으로 갈등을 겪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은 물론 계열사를 통해 조직적으로 부정대출이 이뤄졌을 경우 금감원 검사와 검찰수사 대상과 범위가 더 확대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종금·저축은행은 은행보다 접근하기가 쉬우니 부정 대출이 있을 수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면서도 "관련 제보가 은행에 한해서만 들어왔기에 계열사들에 대해선 아직 들여다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