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축소와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 강도 높은 대출 억제에 나설 방침인 가운데 은행권도 이에 맞춰 대출금리 인상 외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은행연합회는 26일 은행연합회장과 이사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을 비롯해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유명순 씨티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등 7개 회원사 은행장 및 부행장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대출금리 등 가격 중심의 대응이 아닌 은행별로 차주의 상환능력을 고려해 대출심사를 체계화하고 대출한도를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등 방안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또 실수요자 중심의 자금공급을 유지하되, 공급되는 자금이 실수요와 무관한 갭 투자 등 투기수요 및 부동산 가격 부양 수단 등으로 활용되지 않도록 각 은행 자율적으로 다양한 조치들을 시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은행권은 다음 달 시행예정인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및 은행권 내부 관리목적 DSR 산출 등 금융당국의 정책방향에 적극 협조할 방침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최근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하반기에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주택시장 동향 등을 고려할 때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되거나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가계부채 관리 대응방향을 논의했다"며 "은행들은 가계부채 문제가 국민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노력을 경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g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