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GDP 성장률 전망치 2.2% 제시…지나치게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경제상황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글로벌 금융기관 씨티가 코스피 목표가를 5,500으로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호황과 한미 제조업 협력, 지배구조 개선 등을 호재로 꼽았다.

씨티 리서치는 14일 '반도체가 주도하는 골디락스 여건; 코스피 목표가 5,500으로 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코스피 목표주가를 3,700에서 5,500으로 크게 올려 잡았다. 2001년~2007년 메모리 반도체 호황 때의 주가배수를 적용해 산출한 목표가다.

메모리 반도체 업사이클이 코스피를 견인할 전망이다.

씨티는 "현재의 메모리 업사이클은 2026년 내내 코스피의 강력한 실적 성장을 뒷받침할 전망"이라며 "한국의 메모리 산업은 과거 호황을 능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업사이클의 초입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AI) 수요는 디램과 낸드플래시 수요를 근본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미 무역협정과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 정책도 씨티는 코스피에 호재로 봤다.

지난달 말에 합의된 양국의 무역협정은 미국 관세 불확실성을 해소했고, 한국 제조업체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기대를 강화했다. 조선산업과 원자력산업 등이 대표적이다.

씨티는 "정부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3차 상법개정을 추진하는 게 코스피 밸류에이션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경제는 내년에 골디락스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씨티는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로 2.2%를 제시했다. 잠재적인 경제성장률인 1.8%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지나치게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골디락스' 경제상황이다. 씨티의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1.8%이며, 금융 여건은 대체로 완화적일 전망이다.

씨티는 "골디락스 여건은 정부가 기업 지배구조 개혁 및 혁신투자 전략을 등 시장 친화적인 금융·산업정책을 추진할 여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ytse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3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