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남경 기자 =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공직자를 조사하기 위해 설치된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의 조사 대상자가 소수에 국한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 정무수석은 18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TF가 일반 공무원을 다 터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우 정무수석은 "실제 이 논의가 처음 시작됐을 때 만약 우리가 인사하다가 내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이 승진할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특검의 결과를 좀 보고 관련된 사람이 나오면 인사에 반영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런데 특검이 연장되는 바람에 지금 시점에 조사를 안 하면 내년 인사에 반영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불가피하게 이런 조치를 취한 것이다. 대상자는 소수 정도로 국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기 의원이 "전반적으로 프레임이라 생각한다. 국민의힘은 이것을 일반 공무원 사생활을 다 터는 것처럼 얘기하고 있다. 좌고우면 말아라"라는 지적에, 우 정무수석은 "한 달 보름 정도면 관련된 것을 제보받고, 조사하고 그럼 끝이다. 전체 공직자가 다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앞서 국무총리실은 중앙행정기관 49개를 대상으로 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공직자를 조사하는 TF를 출범시키며 공무원을 대상으로 비상계엄 참여와 협조 여부를 조사하고, 연루자에게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했다.

다만 총리실이 밝힌 조사 계획에 휴대전화 제출 방침이 포함되면서 국민의힘이 '사찰 논란'을 제기하고 있다.

답변하는 우상호 정무수석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utzza@yna.co.kr

nkhwa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5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