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한국은행은 기상이변과 지정학적 갈등 등 물가 충격이 빈번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면서 물가에 대한 경계심을 상당 기간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물가가 여전히 목표 수준을 웃도는 가운데 기업들의 가격조정 빈도도 높아진 상황이라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물가의 변동폭이 커질 수 있는 탓이다.

한은 조사국의 이동재 과장 등은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의 변화와 특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진단했다.

이들이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팬데믹 이후 비용 상승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조정의 빈도를 대폭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에서 2021년 기간 기업이 제품 가격을 변경하는 비율은 월평균 11%였지만, 2022년에서 2023년 사이에는 15.6%로 높아졌다. 이는 기업이 평균적으로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는 기간이 약 9.1개월이었는데, 팬데믹 이후 6.4개월로 줄었다는 점을 의미한다는 의미다.

가격의 조정 폭은 팬데믹 전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 과장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 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인상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추정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부터는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가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등 과거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

 

또 기업들의 가격 조정 빈도가 높을수록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비선형적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가의 재상승 등 기업의 가격 조정을 유도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물가가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그런 만큼 "최근과 같이 물가가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의 변동 폭이 물가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이어 "앞으로도 분절화와 지정학적 갈등, 기상이변 등의 크고 다양한 충격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면서 "물가경계심을 상당 기간 이어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기업들의 가격조정 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고 있으며, 기업 가격설정행태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도 있는 만큼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 시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정상화되는지 지속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jw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