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주요 은행들이 사실상 가계대출을 축소하는 총량 관리에 들어가면서 종잣돈인 은행채 조달 전략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올해 계획했던 가계대출 목표치를 이미 뛰어넘은 상황인 데다, 금융당국이 대출 축소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고, 내년 목표 수립시 대출을 제한할 수 있다고 엄포를 한 상황이라 추가적인 은행채 조달 요인은 크게 줄었다는 평가가 많다.
29일 연합인포맥스 발행만기통계(화면번호 4236)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이번달 은행채 순발행 규모는 7천2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들어 지난 4월 6조7천800억원, 5월 2조4천380억원을 제외하면 월간 기준 1조원 미만으로 은행채를 발행하거나 순상환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난해 8월 3조4천700억원의 순발행을 보인 이후 연말까지 월간 2조~3조원가량의 순발행 기조를 보였던 것과는 사뭇 다른 흐름이다.
은행들이 최근 들어 은행채 발행을 줄이는 배경엔 가계대출 축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들썩이는 집값 흐름에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기조로 돌아서면서 은행들도 이에 맞춘 대출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올해 말까지 은행채 조달 수요는 크게 줄어들 것이란 게 은행권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올해 7월과 8월 가계대출이 이례적으로 증가한 상황에서 남은 기간 규모를 축소해 연간 계획 범위 내로 관리해야 하는 만큼 은행채 발행도 그러한 흐름에 맞출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가계대출의 경우 예대율 산정 시 115%의 가중치를 적용받기 때문에 85%를 적용받는 기업대출보다 높다.
이미 올해 5대 은행의 은행채 순발행량은 9조3천180억원으로 작년 연간 순발행 규모인 2조4천5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은행채 증가율도 올해 8.6% 수준을 기록한 만큼 은행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준으로 연간 자산 성장률을 전망한다면 은행채 규모도 줄어들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주요 은행들은 마이너스통장 한도 제한, 주담대 만기 축소 및 모기지 보증 중단,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 제한 등 가계대출 축소를 위한 총량 관리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시중은행 자금 담당자는 "이미 상반기에 대출이 많이 늘었고 조달도 이에 맞춰 했던 만큼 하반기 물량 관리에 따라 조달 수요가 적어질 것"이라며 "가계대출 외에도 다른 자산 성장 계획을 따르겠지만, 제한이 걸리다 보니 발행을 늘릴 유인이 사라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은행 자금 담당자는 "대출에 맞춰 조달을 늘렸으니 추가 조달 수요가 사라진다"며 "가계대출의 예대율 가중치도 기업대출 대비 높은 만큼 크게 늘릴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ylee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