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 건설 중인 대규모 데이터센터 시설이 일론 머스크의 xAI를 첫 고객으로 맞이하게 됐다.
19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xAI는 "해당 데이터센터는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NAS:NVDA) 칩으로 장비를 갖출 예정"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머스크와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U.S.-Saudi Investment Forum)에 참석했다.
이번 발표는 5월의 협력 관계를 확장한 것으로 당시 엔비디아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보유한 스타트업인 '휴메인(Humain)'에 500메가와트의 전력을 사용하는 칩을 공급한다고 밝힌 바 있다.
휴메인은 이날 해당 프로젝트에 약 60만 개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휴메인은 올해 초 출범한 회사로 이번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은 황 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했을 때 처음 공개됐다.
황 CEO는 "상상할 수 있는가"라며 "매출이 제로에 불과한 스타트업이 이제 일론 머스크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짓게 됐다"고 말했다.
CNBC는 "이 시설은 엔비디아가 '주권 AI(sovereign AI)'라고 부르는 개념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라고 꼽았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국가들이 AI를 위한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 국가 안보와 문화적 정체성을 보호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하이퍼스케일러 몇 곳을 넘어서는 거대한 시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후원한 행사에 황 CEO가 등장한 것은 정부가 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또 하나의 신호라는 분석이다.
매체는 "엔비디아는 미래 AI 칩을 중국에 수출하기 위한 라이선스를 확보하기 위해 꾸준히 로비를 해왔으며, 황 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휴메인은 엔비디아 칩 외에도 AMD와 퀄컴(Qualcomm) 칩 및 AI 시스템 또한 이용할 계획이다.
AMD의 리사 수 CEO와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몽 CEO는 전일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위한 국빈 만찬에 참석했다.
AMD는 2030년까지 최대 1기가와트 전력이 필요한 칩을 제공할 예정이며 자사가 공급할 칩이 AI용 인스팅트 MI450 GPU라고 밝혔다.
시스코(Cisco)도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인프라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퀄컴 또한 10월에 공개한 새로운 데이터센터 칩인 AI200과 AI250을 휴메인에 판매할 예정이다. 휴메인은 퀄컴 칩을 200메가와트 규모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