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 버블과 관련해 논란이 많지만, 우리 관점은 매우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19일(현지시간) 자사 실적 발표 간담회에서 "다시 한번 말하지만, 엔비디아는 다른 가속기(accelerator)와 다르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는 사전 학습 및 사후 학습부터 추론까지 AI의 모든 단계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의 콜레트 크레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엔비디아가 메타와 같은 하이퍼스케일러(초대규모 기업)의 미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레스 CFO는 "우리는 현재 하이퍼스케일 업무 전반에 걸쳐 가속 컴퓨팅과 생성 AI로 전환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장기적인 성장 기회의 약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에 AI칩을 판매하는 것과 관련한 현재 미국 당국의 제한 조치에 실망했다고 말했다.

크레스 CFO는 "이번 3분기에 중국에 대한 대규모 구매 주문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지정학적 문제'와 중국 내 경쟁적인 시장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서 "중국에 더 경쟁력 있는 제품을 공급하지 못해 실망했지만, 미국과 중국 정부 모두와 지속해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4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 크레스 CFO는 "4분기에 중국에서 데이터센터나 컴퓨팅 매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가정하에 작성했다"며 "4분기 중국에서 관련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에너지 인프라가 향후 AI 도입에 잠재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엔비디아는 "에너지 인프라 구축은 상당한 규제와 기술 및 건설 과제를 수반하는 복잡하고 수년에 걸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에너지 병목 현상이 가속화된 컴퓨팅 및 AI의 도입 규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회사는 우려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30달러라고 발표했다.

금융 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1.25달러보다 높다.

매출액은 570억1천만달러로 예상치(549억2천만달러)보다 많았다. 전분기 대비 22%, 1년 전 같은 기간보다는 62% 급증한 것이다.

엔비디아는 4분기 매출액 전망치를 637억~663억달러로 제시했다. 중간값은 640억달러 수준이다. 시장 전망치(616억6천만달러)를 상회했다.

 

 

ywk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4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