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이수용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 강화로 저축은행 부실이 심화한다는 우려에 대해, "특정 금융사가 '손실 커진다', '이익 안 난다' 등 개별적 이해관계 측면에서 말하는 것을 하나하나 곧이곧대로 반영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9일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거시경제 상황이나 향후 부동산 시장이 현재처럼 돈이 묶여 2~3년 이상 공급이 지연될 형태로 초래하는 주거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민하고 있어 적절한 방식으로 풀리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저축은행의 PF 부실 우려에 대해선, "부실은 평가 기준을 엄하게 해서 심화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사 운영 차원에서 심각성을 생각해 부실이 반영 안 되고 있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라며 "금융사 건전성 관리를 다양하게 봤는데 시스템 리스크 문제는 전혀 없고 개별적 이해관계만 남는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평가 기준의 문제, 영세 시행사의 연대보증 관련한 예측 못 한 파급력과 부작용을 인식하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의 문제, 건설사 문제, 지역경제 문제 등 다양한 비금융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공감한다"고 했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살피기 위한 경영실태조사에 대해서는, "있는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고, 시장 충격이 별로 없다는 것에 대한 확신이 있다"며 "연체율 상승과 그 추세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부실채권 정리에 필요한 건전성 강화 노력을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 업권 내 다수 금융사에 대한 동일한 형태의 전파 가능성은 작고, 개별 금융사의 건전성 관리가 적절한지 경영실태평가라는 것을 통해 점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발언하는 이복현 금감원장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들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6.19 jieunlee@yna.co.kr

sgyoon@yna.co.kr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4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