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가계부채 급증세를 억제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등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은행들도 주담대 금리를 잇따라 올리고 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한도와 금리 측면에서 제약이 생기자 지방은행 등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자 이를 차단하려는 의도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iM뱅크는 이날부터 주담대 금리를 0.5%포인트(p) 인상했다.
이에 따라 5년 고정형 혼합금리 기준 대면 주담대는 3.85%~4.55%, 비대면 주담대는 3.85%~4.35%의 금리를 받는다.
iM뱅크 관계자는 "최근 상대적으로 주담대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대출 수요가 몰렸고, 대출 관리 모니터링을 지속하면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들어 지방은행들은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담대를 비롯한 가계부채 증가 폭이 크지 않았으나, 최근 시중은행에서 취급을 강화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았던 지방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렸다.
iM뱅크에서는 최근 수도권 영업점에서 주담대 신청이 몰려 영업 과부하에 따라 잠정적으로 취급을 중단했고, 부산은행에서도 지난달 진행한 1조원 규모의 주담대 특판이 약 2주 만에 완판되기도 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도 지난달 말부터 각각 0.4%p, 0.2%p씩 주담대 금리를 올렸다.
금융감독당국에서는 최근 시중은행들이 총량 관리로 취급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 주택 관련 실수요자들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진행된 가계대출 실수요자 및 전문가 현장간담회 후 "명절 전 은행장들과 만나 실수요자들을 위해 은행들이 상품을 운영하도록 당부하겠다"고 말했다.
sylee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