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부실 정리 철저 이행…서민금융기관 역할 회복 필요"

"포지셔닝 재정립 위한 제도개선 방안 고민할 것"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저축은행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신뢰 문제에 직면한 엄중한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저축은행 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결과에 따른 재구조화·정리계획을 철저히 이행해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 "그동안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에 기대어 손쉬운 선택을 한 결과가 아닌지 냉정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급격한 디지털 전환 등 영업환경 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저축은행 업계가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PF와 수도권 중심의 대출 쏠림을 해소하고 서민 금융공급기관의 역할을 회복해야 한다"면서 "업계 스스로가 신용평가 등 영업역량과 기반을 확충하고 적극적인 디지털 전환 노력, 비대면 영업채널 확대 등 비용구조 개선과 판매채널 다각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도 시급하게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저축은행업계가 주기적인 신뢰 위기를 겪지 않도록 부동산 PF 등 특정자산 쏠림으로 위기가 반복되는 현실을 냉철하게 진단하고, 신속한 위기 극복과 저축은행 본연의 역할 회복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정부도 저축은행이 시장 안정 속에서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신속히 할 수 있는 것부터 적극 추진하겠다"면서 "저축은행의 포지셔닝 재정립과 이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업계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희수 신한저축은행장은 "사잇돌2 대출은 중금리 상품이나 적격대상이 저신용차주에 집중되어 있어 공급 확대가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 "햇살론에도 영업 구역 내 의무여신비율 산정 시 인센티브를 부여해 달라"고 제도개선을 요청했다.

김정수 에큐온저축은행장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되어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며 "7월 시행된 다중채무자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제로 저축은행들은 저신용자가 많은 다중채무자에 대한 자금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금융상품 비교플랫폼, 중저신용자 맞춤형 신용평가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방안을 회원사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