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가계부채 급증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정책대출과 관련, 국토교통부가 공급 규모를 줄일 계획이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0일 "당국 간에 입장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대출이 집값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면서 "공급 규모를 줄이기 않고 대신 금리를 조정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복현 원장은 10일 오전 중구 은행회관에서 18개 국내은행장과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장관의 발언에 대해, "국민께 말씀드린 약속을 지키겠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정책 대출과 관련해선 국토부랑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대출 금리를 일부 조정해 운용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증가 규모를 줄이겠다는, 예측 가능하게 운용하겠다는 의미로 이해한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가계대출 규제를 은행 자율에 맡기는 것이 정책 일관성에 배치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은행이 자율적으로 자금 공급과 억제 사이에서 균형을 찾을 수 있다"면서 "특정 소비자가 대출 절벽을 느낄 정도로 일률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우려가 되기에 한번 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 목표를 초과한 은행에 대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높이겠다는 금감원의 입장에 대해선, "9월도 중요하지만 10월, 11월 가계대출 흐름을 봐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어떤 정책수단도 고려하겠다는 것은 변함 없다"고 했다.
이어 "9~10월 정책 효과와 은행 여신심사 정밀화를 통한 효과를 좀 보고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sg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